반응형 전체 글27 팸플렛 양식 ai파일 무료 다운 팸플렛 양식 2개 있습니다.팸플렛 양식 파일을 편하게 다운해서 사용 가능합니다.1. 접었을 때 3단 접지 팸플렛 양식 (297*210)2. 접었을 때 2단 접지 팸플렛 양식 (420*297) 필요하시면 다운하시고, 도움 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좋은 하루 잘 보내세요. 2021. 11. 23. 농문화 농문화일단 문화라는 무슨 의미인지 여러분 잘 아실 거예요.소수집단인 농인의 삶 속에 문화도 있습니다. - 손짓으로만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표정과 몸짓도 함께 표현합니다.- 농인을 부를 때 전등불을 껐다 켰다 합니다.- 청각장애인을 농인이라고 부리고 비장애인을 청인(건청인)이라고 부릅니다.- 수어 이름을 부릅니다. 음성 대신 시각적 표현을 하기 위하여 손짓과 몸짓으로 다양하게 부르는 방법이 있습니다. 에티켓- 농인을 불릴 때 큰 목소리로 부르지 말고 손짓을 흔들거나 어깨를 살살 쳐줍니다.- 농인을 만날 때 필담이나 제스처를 해줍니다.(수어 가능하면 정말 감사하실거예요.)- 농인과 눈을 마주치면서 대화를 합니다.- 입모양을 천천히 보여줍니다.- 사람마다 다르고 한계가 있을 뿐, 농인도 청인도 같은 사람입니.. 2021. 11. 23. 6월 3일 농인의 날 6월 3일 농인의 날이란?6월 3일이 된 유래는 우리나라 농인 복지의 최초 한국농아인협회의 원형인 조선농아협회라는 자립 단체가 설립된 1946년 6월을 기념하는 6과 귀의 모양을 형상화한 3일 결합한 것입니다. 그런데 농인은 농사짓는 사람이라는 뜻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아쉬웠습니다. 농인은 국어사전에 찾아보면 '청각에 장애가 있어 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 주로 수어로 의사소통을 한다.'라고 합니다. 수어란?수화 언어의 줄임말로 말하는 입을 대신하여 몸짓이나 손짓으로 신체적 표현하는 의사소통하는 시각언어를 말합니다.수화를 농인의 공식 언어로 인정하기 위하여 한국농아인협회의 수화언어법 연구위원들이 '한국수화 관련 법령 제정 연구' 진행하였습니다. 한국수화언어 기본법을 2013년 구회에 제출하였고 .. 2021. 11. 2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